HOLD THE LINE
 
As I tidy away the tangled wires after shooting, I start to feel gratitude towards a lot of people. They had to endure the stationary posture for a long time while the body was getting wrapped in with wires and had to bear the uncomfortableness caused by the wires for at least 3 to 4 hours more while pictures were taken. They must be tired at the end of such a long day, but soon after I started tidying up alone, they all joined me and help me putting away the wires that were as tangled as my brain.
As if to put away the awkwardness, they all untangle the wires. Such mental attitudes are what I feel thankful and find fascinating. I am more moved by the warm hearts of the people around me when I am photographing than anything else.
Thus this time the work has started putting around me the fine bands called relationship.
 
On

The work derived from the consideration of identity has developed into the work of finding myself in the eyes of the people around me, and recently I have been working on the new type of portraits, the collages of objects and flowers with people.
I haven’t fou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identity yet. However, the changes happening to me and the love I feel towards people around me confirm the fact that I am indeed alive.
Through the life that teaches me the importance of one another as we always stay together, the emotions such as joy and sorrow that we feel in our daily lives,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expressed through the medium of work, this time I have based my work through the people around me again as usual.
The movement of light presented in the darkness exaggerates the ordinary life and makes it seem like a musical or mime, and makes it somewhat strange yet familiar that I feel like being in the reality within a dream.
Feeling like dreaming is the way the work presents ourselves. Like the art that makes the ordinary extraordinary the work gives me the eye that enables me to see the beauty of the world.
The body wrapped in a variety of colors of lights and the way the lights present themselves in the darkness look even more fascinating than itself under the daylight. The mixture of lights presented in the traces of movements made by taking various postures, moving or dancing with a long time exposure creates the beauty of new colors that only live souls can make.
Such effects of motions that are accidentally created give me the joy of doing work every time.
 
 
Off
I had a worry about my work for a considerable time.
Working under pressure in order to create something has become even more troublesome and boring.
‘What does work mean to me? I don’t want to show off myself or earn money. Why do I put a trap around me that takes away the joy...?’
When I first started working it was the ‘joy’ I felt.
I played while working, and felt more happiness because I enjoyed the life so much that in turn, it made me work enthusiastically, hoping the results of the work would make the spectators happy.
Through this work I found the true joy again. While I was working, the joy I felt lighted up my worries. As I worked in such a joyful state, many accidentally created effects have evolved the work into better work, clearly showing me the path that lead to what I wanted.
What has accumulated into a process of the work was every element of ordinary lives, not the desire to create a fine work. It is ‘the process’ of expressing gratitude, the gratitude for being alive. Those ‘processes’ are the ‘work’ itself. It is the ‘present day’ that I am going through enjoying myself and being amused, not showing off myself.
I sincerely thank the people who love me and give me the present of ‘a lovely day’ today.
 
HOLD THE LINE

우리는 모두 가느다란 선에 의지한 채 이세상을,
내 고된 삶을 살아간다.
생명을 이어주는 핏줄, 느낌을 잃지 않게 해주는 신경,
상대를 향한 시선, 그리고 알수 없는 우리의 인연...
우리를 고독에 밀어 넣기도 하고, 우리를 혼돈에 집어 던지기도 하는 우리 삶의 끈...
그 끈이 무엇이든 중요한건 그 끈을 놓지않는 것,
끈끈하게 이어진 끈과 끈속에서 삶을 아름답게 이어가는 것.
 
 
On

촬영을 마친뒤, 정신없이 꼬인 선들을 정리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느끼게 된다.
몸에 선을 감기위하여 같은 자세로 긴 시간을 참아 주어야 하고, 감겨진 선 때문에 불편한 몸으로 촬영에 임하다 보면 3~4시간이 금방이다. 그리하다보면 지칠 터인데, 촬영이 끝난 뒤 홀로 정리를 하고 있으면, 자연스레 다가와 모두 함께 내 머리처럼 꼬인(?) 선들을 정리하게 된다.
촬영후의 서로의 어색함을 풀듯, 꼬인 선들을 함께 풀고 있다. 그런 마음들이 고맙고, 멋있다. 작업하면서 주위사람들의 따뜻함에 더 큰 감동을 느낀다.
이렇듯 이번 작업은 나에게 인연이라는 좋은 끈을 감아주며 시작되었다.
 
정체성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어진 작업은 주변인물에게 비추어진 나의 모습을 찾아가는 작업으로 발전되었고, 최근에는  오브제나 꽃등의 소재들을 인물과 함께 꼴라쥬하여 새로운 형식의 포트레이트를 만들어 내고 있다.
정체성에 대한 고민의 답을 찾지는 못한다. 하지만, 자신이 변해가는 모습, 그리고 주변에 대한 사랑은 내가 살아있음을 확인 시켜준다.
언제나 함께 하고 있어 서로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는 삶의 모습에서 작업이라는 매체로 일상의 모습, 인간관계, 소통, 즐거움, 슬픔 등의 감정표현들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주변 인물들을 통해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어둠속에서 진행되는 빛 형태의 움직임은 흔히 볼 수 있는 일상마저도 뮤지컬이나 마임 처럼 과장되어 보이기도 하고, 익숙하지만 낯선 모습에 꿈속의 현실처럼 느껴진다.
그렇게 꿈꾸듯 우리의 모습을 담아낸다. 별것이 아닌 것도 특별한 것으로 만드는 예술처럼 작업은 나로 하여금 세상을 아름답게 보는 눈을 만들어 주고 있다.
다양한 색깔의 빛이 감긴 신체의 형태는 밝은 곳에서 보는 직접적인 형태와는 달리 어둠속에서 나타내는 불빛의 모습은 더 없이 황홀하게 만든다. 그런 모습에서 다양한 자세를 취하기도 하고, 또는 움직이고, 춤사위를 벌이면서 장시간 노출로 인해 나타나는 움직임의 흔적들에서 보여지는 빛의 혼합은 살아있는 생명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색의 아름다움을 창조해 낸다.
의도되어지지 않는 그런 모션의 우연적 효과로 매번 새롭게 작업의 기쁨을 느끼게 해준다.
 
한동안 작업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억지로 무언가를 만들어 내려는 작업은 결국 더 억지스럽고, 지겨워지기 시작했다.
' 작업을 한다는 것이 무엇이지? 누구에게 잘 보이려고 하는 것도 아니고, 돈을 벌기 위한 목적도 아닌데. 왜 난 스스로가 만든 족쇄로 즐기지 못하는 것이지...?'
처음 나의 작업의 시작은 '즐거움'이였다.
작업을 하면서 놀고, 놀다 보니 너무 즐거워 사는 것이 더 행복하게 느껴지고, 또 신이 나서 작업을 하고, 그 즐거움의 작업을 보는 이들이 즐거웠으면 했다.
이번 작업으로 다시 진정한 즐거움을 찾았다. 작업하는 동안의 즐거움은 많은 고민들을 가볍게 만들었고, 그런 마음에 작업을 하니 많은 우연의 효과들이 더 좋은 작업으로 진화 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뚜렷이 내가 원하는 것을 찾아가게 되었다.
좋은 작품을 만들려는 욕심의 결과물로 완성하려는 것이 아닌 일상의 모든 것 하나하나가 작업의 과정으로 쌓여가는 것이다. 살아있는 것에 감사함으로 그것들을 표현하는 '과정'이다. 그 '과정'들이 '작업'인 것이다. 그것은 자랑하려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즐기면서 감동을 받으며 살아가는 오늘  ‘하루’인 것이다.
 
 
 
Off

한동안 작업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억지로 무언가를 만들어 내려는 작업은 결국 더 억지스럽고, 지겨워지기 시작했다.
' 작업을 한다는 것이 무엇이지? 누구에게 잘 보이려고 하는 것도 아니고, 돈을 벌기 위한 목적도 아닌데. 왜 난 스스로가 만든 족쇄로 즐기지 못하는 것이지...?'
처음 나의 작업의 시작은 '즐거움'이였다.
작업을 하면서 놀고, 놀다 보니 너무 즐거워 사는 것이 더 행복하게 느껴지고, 또 신이 나서 작업을 하고, 그 즐거움의 작업을 보는 이들이 즐거웠으면 했다.
이번 작업으로 다시 진정한 즐거움을 찾았다. 작업하는 동안의 즐거움은 많은 고민들을 가볍게 만들었고, 그런 마음에 작업을 하니 많은 우연의 효과들이 더 좋은 작업으로 진화 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뚜렷이 내가 원하는 것을 찾아가게 되었다.
좋은 작품을 만들려는 욕심의 결과물로 완성하려는 것이 아닌 일상의 모든 것 하나하나가 작업의 과정으로 쌓여가는 것이다. 살아있는 것에 감사함으로 그것들을 표현하는 '과정'이다. 그 '과정'들이 '작업'인 것이다. 그것은 자랑하려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즐기면서 감동을 받으며 살아가는 오늘  ‘하루’인 것이다.
 
 
HOLD THE LINE
Published:

HOLD THE LINE

HOLD THE LINE

Published:

Creative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