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ang

Madang
2022
-
Industrial Design
Product Design
Packaging Design
-
"딱딱한 책상 위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마당'은 한국의 잊혀져가고 있는 다양한 전통놀이를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책상 위에서 자주 사용되는 제품들로 재해석한 시리즈입니다. 각 전통놀이의 특성을 미니멀한 형태로 풀어내서 책상 위를 다채로운 놀이터로 만들어줍니다.

"It gives life on a hard desk."
'Madang' is a series that reinterprets various forgotten traditional games in Korea with products that are often used on desks to suit the lifestyle of modern people. It unravel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ditional play in a minimal form, making it a colorful playground on the desk.
전통 놀이가 잊혀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우리는 그 중 '공간의 제약' 과 '어려운 접근성' 이라는 문제를 발견하여 이를 책상이라는 익숙한 공간을 활용하여 풀고자 하였습니다. 그 과정에서 전통 놀이와 사무용품 간 공통점을 발견했고 이를 통해 솔루션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Among the reasons why traditional play is forgotten, we wanted to focus on "space constraints"and "difficult accessibility". I tried to solve this by using a space called a desk. In the process, we found common ground between traditional games and office supplies and developed solutions through them.
'놀이' 는 재미가 있어 능동적으로 즐기는 행위를 뜻합니다. 그것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즐기고 행복해지는 일입니다. 이를 대표했었던 전통 놀이가 오래오래 지속되도록 재해석하여 현대식으로 전승하고자 했습니다.

When you say 'play', it is fun and you actively enjoy it. It is to voluntarily enjoy and be happy without anyone telling you to. I would like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play that represented this for a long time and pass it down in a modern way.
한국의 전통놀이인 '투호', '줄다리기', '상모놀이', '널뛰기', '그네', '강강술래', '비석치기', '사방치기'를 각 놀이의 특징이 잘 나타날 수 있도록 8개의 사무용품이나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로 재해석했습니다.

'Madang' reinterpreted Korean traditional games 'Tuho', 'Juldarigi", ' Sangmonori', ' Neoltwigi', 'Geune', 'Ganggangsullae', 'Biseokchigi' and 'Sabangchigi' into eight office supplies or interior prop serie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y can be displayed well.
각 놀이의 대표적인 동작이나 사물은 타원과 직선을 이용하여 아이콘화 했습니다. 각 제품에 정체성을 부여하고 놀이의 특성을 잘 표현했습니다. 
또한 브랜딩, 패키징에 이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Representative actions or objects of each play were iconized using ellipses and straight lines. Therefore, each product was given an ident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y were well expressed. It is also available for branding and packaging.
책상에 앉아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이 이 시리즈를 사용하면서 잊혀가는 전통 놀이를 자연스럽게 상기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습니다. 또한 
시대 감각에 맞는 사용 방식과 심플한 디자인을 더 해 사람들이 전통 놀이와 쉽게 가까워질 수 있도록 했습니다.

It was designed to allow modern people who spend a lot of time sitting at their desks to naturally recall the forgotten traditional games as they use this series. In addition, the use method and simple design suitable for the sense of the times have been added to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get closer to traditional games.
Tuho / Pencil holder
Javelin throw game
원기둥 형태의 통에 화살을 넣는 놀이입니다. 무언가를 넣는 행동과 원기둥 형태를 연결하여 펜을 넣을 수 있는 '연필꽂이'로 재해석했습니다.

It's a game of putting an arrow into a cylinder-shaped barrel. It is reinterpreted as a 'pencil holder' where you can put a pen by connecting the act of inserting something and the shape of a cylinder.
Juldaligi / Wrist stretching tool
A tug of war
줄을 당겨서 승부를 하는 놀이입니다. 손으로 잡고 당기는 행동과 줄의 형태를 연결하여 '손목 스트레칭 기구'로 재해석했습니다.

It's a game where you pull a rope to win. It was reinterpreted as a 'Wrist stretching device' by connecting the action of holding and pulling with the shape of the rope.
Sangmodoligi / Clip holder
Spinning the sangmo
모자에 매단 장식을 돌리는 놀이입니다. 회전이라는 움직임과 '전립' 이라는 모자의 형태를 연결하여 자석'클립 홀더' 로 재해석했습니다.

It's a game of hanging ornaments on hats. It was reinterpreted as a magnet 'Clip holder' by connecting the movement of rotation with the shape of a hat called 'Jeonlip'.
Gang Gang Sulae / Alarm
Traditional Korean circle dance play
여러 명의 사람이 손을 잡고 원형을 그리며 도는 놀이입니다. 회전이라는 움직임과 원형의 형태를 연결하여 '알람'으로 재해석했습니다.

It's a game in which several people hold hands and circle. It was reinterpreted as 'alram' by connecting the movement of rotation and the shape of the circle.
Geune / Incense holder
Swing
걸어둔 줄 아래에 발판을 걸쳐놓고 거기에 올라앉거나 서서 몸을 앞뒤로 움직이는 놀이입니다. 진자운동과 어딘가에 걸어두는 형태를 연결하여 '인센스 홀더'로 재해석했습니다.

It is a game in which a foothold is placed under a hanging rope and you sit or stand there to move your body back and forth. It was reinterpreted as an 'Insense Holder' by connecting the shape hanging somewhere with the pendulum movement.
Sabang chigi / Multipurpose tray
Koren tranditional Hopscotch
마당에 놀이판을 그려 두고 그림의 첫 칸부터 마지막 칸까지 다녀오는 놀이입니다. 평평하고 여러 칸을 나눈 형태를 통해 '다용도 트레이' 로 재해석했습니다.

It is a game where you draw a playground in the yard and go from the first to the last compartment of the picture. It was reinterpreted as a 'multi-purpose tray' through a flat and divided form.
Bisuk chigi / Weekly calendar
A stone slapping
돌을 세워 놓고 떨어진 곳에서 다른 돌을 던져 세워 놓은 돌을 맞혀 넘어뜨리는 놀이입니다. 넘어뜨리는 행동과 비석의 형태를 연결해 '위클리 캘린더' 로 재해석했습니다.

It is a game in which you throw another stone away from the place where the stone is erected and knock it down by hitting it. It was reinterpreted as 'Weekly Calendar' by connecting the act of knocking down with the form of a tombstone.
Neolttwigi / Clip
Korean jumping game similar to see-sawing
기다란 널빤지 양 끝에 두 사람이 올라서서 한 명씩 뛰어오르는 놀이입니다. 한쪽에 힘을 주면 반대편이 올라가는 움직임과 널빤지의 형태를 연결하여 '집게'로 재해석했습니다.

It is a game in which two people stand on both ends of a long board and jump one by one. It was reinterpreted as 'Clip' by connecting the movement of the other side to the shape of the plank when one side was applied with force.
자주 접하는 책상에서 마주함으로써 미래에도 전통 놀이가 잊히지 않고 전승될 수 있습니다. 또한 책상 위의 인테리어 용도와 사무용품으로 병행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By facing each other at a desk that we often encounter, traditional games can be passed on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highly utilized as it can be used as both interior and office supplies on the desk.
민속놀이는 현대까지 전승되어 오는 동안 형태나 내용이 바뀌고 사라졌습니다. 또한 생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게임의 발달로 차츰 잊혀가고 있습니다. 이에 기존 전통놀이를 전승하기 위한 디자인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Folk games have been handed down to modern times, and their forms and contents have changed and disappeared. In addition, it is gradually being forgotte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 games amid changes in living conditions. Therefore, design is needed to pass on existing traditional games.
Designed by
-
Siwook Lee
Jihyun Hong
Junsu Lee
Jiung Yun
-
Featured
Madang
Published:

Madang

'Madang' is a series that reinterprets various forgotten traditional games in Korea with products that are often used on desks to suit the lifest Read More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