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마음으로
여기
여기
떠돌기 전 우리는 어디있었는가
바람이 불고
온갖 어지러운 것들과
칼날같은 바람에도 나는 여전히

여기 어디에 몸을 누이고 싶다
맨몸으로
살갗을 내어준 채
칼날같은 바람에도
나는 여전히
untitled - 1, 150×195(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2, 150×193(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3, 150×182(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4, 150×162(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5, 150×176(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6, 150×171(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7, 150×180(cm), acrylic on paper, 2021



untitled - 8, 150×175(cm), acrylic on paper, 2021




살아있음에 대해. 시작된 곳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그 곳이 말하고 있는, 잊고 있었지만 분명 존재하는 것을 끌어내고자 한다. 우리는 실재와 가상이 혼재하는 세상에서 살고 있다. 하지만 기억해야할 것이 있다. 우리는 여전히 몸에서 몸으로 태어나는, 살아있는 존재이다. 익명성이 높아지고 비대면이 만연해질 세상에서 끊임없이 접촉하고 만져야한다. 사람을, 동물을, 잔디를, 바람을. 몸은 생 그 자체이다. 정교하고도 유기적인 몸은 우리 역시 자연의 산물임을 알게 한다. 뜨겁고, 축축하고, 끊임없이 흐르는 완벽한 시스템. 소멸과 탄생을 한번에 담고 있는 것. 자연이자 인간이 갖고 있는 태초의 에너지에 주목한다. 아무런 꾸밈도 부끄러움도 없는 본래의 모습을 그리고자 한다.

About aliveness. I try to go back to where everything started. I try to bring out what the place is saying, what we forgot but clearly exist. We live in a world where reality and virtuality are mixed. But we don't have to forget that we are still alive beings that are born from the body to the body. In a world where anonymity will increase and non-face-to-face will become widespread, we must constantly contact and touch. The people, animals, grasses, and wind. The body is an aliveness itself. The elaborate and organic body makes us know that we are also a part of nature. The perfect system that is hot, damp, constantly flowing. The thing that contains death and birth at once. I focus on the the primitive energy of nature and human. I try to draw the original appearance without any decoration or shame.



Copyright ⓒ 2021 Choe Hyeryeong All Rights Reserved
untitled, 2021
Published:

untitled, 2021

Pu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