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me Series
A piece of sea #1
2019
Verdant exhibition space
2019
Into the clouds
2019
Moon in water
2019
Flex
2019
Pool
2019
Samsung blue
2019
Exhibition space
2019
Moon in the wall
2019
A piece of
2019
Low clouds
2019
Moon behind wall
2019
Boundary

이 사진을 보고, 숨을 쉬고, 맥동하고 있는 지금의 당신은 실제하고 있는 것인가?
평범하고 자연스러운 일상에 대한 의구심 반복적이고 평범한 삶이 비현실감을 불러온다.

머릿속을 나뒹구는 비현실감을 떨쳐내기 위해 나는 현실적이지 않은 비현실의 이미지를 마주했고 
그 순간 비로소 현실로 돌아올 수 있게 됐다.

일상 속 공간 안에 선명하고도 몽환적인 이미지들이 들어와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또렷하게 만들어준다.

현실이라는 것을 깨닫는 안도감은 셔터를 누르고 작업물을 완성해 내는 순간
완벽해지며 연기처럼 빠르게 빠져나간다.

잡고 싶고 믿고 싶어도 잡아지지도 믿어지지 않기 때문에
끊임없이 현실임을 자각하고 싶은 욕구에 시달린다.
나는 스스로 현실임을 증명하고 실감하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

Are you in real life now, breathing, pulsating, looking at this picture? Doubts about normal and natural daily life Recurring and ordinary life brings unrealistic feelings. In order to shake off the unrealistic feeling that is wandering in my head, I faced an image of non-realism that was not realistic, and at that moment, I was able to return to reality. Clear and dreamy images enter the space in everyday life, mak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non-realism clear. The relief of realizing that it is reality becomes perfect as soon as you press the shutter and complete the work, and escapes quickly like smoke.  I want to catch and believe, but I can't be caught or believed, so I'm constantly suffering from the desire to realize that it's reality. I take pictures to prove and realize that I am real.



사물화된 사진 속 일상, 이로부터 역전된 현실에 대한 시각

KiKi Lee의 이번 전시에서는 일상적인 공간에 비일상적 방식으로 사진이 놓여있는 독특한 사진 작업들을 만나게 된다. 전시된 작품들은 전체적으로는 인간이 살아가는 일상적인 상황들, 예를 들면 자연의 한 장면이거나 도로, 건물 등 일상 속 사물들에 관한 사진처럼 보이지만 그 가운데에는 흔히 사진이 다뤄지거나 전시되는 것과는 다르게 마치 어떤 상황을 만들어낸 것처럼 보이도록 인위적인 방식으로 사진이 놓여져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일상의 문맥을 깨뜨리는 원인이 되기에 자연 혹은 일상은 본래 그대로의 모습으로 읽혀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특정한 상황에 관한 것으로 읽혀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작업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사진 속의 사진 역시 사진 밖의 일상적 공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자연과 일상의 이미지들인 것을 알 수 있다. 일상의 한 순간이 그와 유사한 또 다른 일상 속에 불현듯 나타난 것처럼 낯선 상황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일상은 그 익숙함으로 인해 주목하거나 그것의 내재한 의미들을 읽어내려 하는 경우는 드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일상의 한 순간이 또 다른 일상 속에 유사하지만 독립적이고 결이 다른 방식의 프레임을 가지고 개입하게 되자 지연되거나 차용된 두 가지 다른 일상은 그 간극으로 인해 차이를 드러내며 상호작용 속에서 해석될 수 밖에 없는 관계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작업을 해나가는 가운데 현실 속 일상을 의미의 차원에서 바라보게 되면서 결코 프레임과 같은 구획 내에 가둘 수 없는 대상인 현실이라는 지점에 대해 더욱 깊이 각성하게 되는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그는 과거 현실의 한 지점을 지시하고 있는 사진이라는 매체를 더욱 사물화된 차원으로 문맥을 바꿔보거나 또 다른 현실 안에 위치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실험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작가가 현실 속 일상을 하나의 사물처럼 접히거나, 구겨지거나, 혹은 물속에 잠겨있는 상태로 일상의 사물과 겹쳐지게 만든 것은 기억이 어떤 자극에 의해 변형되어 이해되듯 일상에 대해 평소의 이해방식에서 벗어나도록 만듦으로써 감춰져 있었던 새로운 의미들이 발생되도록 하는 방법이었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결과물들을 얻기 위한 과정이었던 것으로 읽혀진다. 작가는 이와 같은 작업 과정 자체를 통해 현실 속 일상에 묻혀 그 안에서 일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현실로부터 탈피하여 그 안에 겹겹이 쌓여있을 것으로 보이는 존재적 의미의 겹들을 읽어가고자 하였던 것이다. 작가는 이렇게 일상적 현실을 탈피하여 다른 눈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방법은 하나의 현실을 사진과 같은 매체 혹은 사물의 형식 내에 가둬두고 이를 다른 현실 혹은 다른 문맥과 충돌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이 유효할 것으로 보았던 것 같다. 그것은 두 개의 다른 현실이 차이와 간극을 확인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함께 관찰되는 지점은 그의 작업에서 작업 속에 등장한 사진이 그 사진 밖의 일상의 상황을 해석하게 만든다는 것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생각해 보면 전시장에서 보여주고 있는 그의 사진작업 역시 그의 작업 방식과 유사하게 관객에게 사진 속 현실과 그것을 바라보는 현실의 차이를 각성시키는 효과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프레임 안에 있는 일상이 사진 속 일상과 대비되면서 두 가지 차별화된 현실 속 일상의 간극을 읽게 만들고 있기에 현실을 이미지로 바라본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프레임을 넘어 다시 본다는 것에 대한 시각 문법을 익힐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는 기능을 하게 된 것이다. 작가 KiKi Lee는 이처럼 사진이라는 매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현실과 사물의 프레임을 서로 역전시키거나 겹쳐지도록 하고, 이로써 현실의 경계를 흔들거나 시공간의 한계를 재구축하는 작업을 수행해내고 있다. 이는 일상 속 현실을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 혹은 시각의 토대가 달라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는 것이며 결과적으로는 일상을 살아가는 존재의 대한 본질적 위치를 자각하도록 만드는 작업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exhibition by KiKi Lee, you will see unique photography works that are placed in everyday spaces in an unusual way. The works on display look like pictures of everyday situations in which humans live, for example, a scene of nature, or about everyday objects such as roads and buildings, but they are placed in an artificial way to look like they have created a situation, unlike what is often covered or displayed. Since this way of working causes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to be broken, nature or daily life cannot but be read as being about a specific situation. However, if you look closely at the works, you can see that the pictures in the pictures are also images of nature and daily life that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daily space outside the picture. An unfamiliar situation is occurring as if one moment of daily life suddenly appeared in another similar daily life. It is inevitable that daily life is rare to pay attention to its familiarity or to read its inherent meanings. However, as one moment of daily life intervenes with a similar, independent, and different frame in another, two different routines delayed or borrowed are revealed as differences due to the gap and inevitably interpreted in the interaction.
As the artist looked at daily life in reality in terms of meaning while working on it, he may have come to realize more deeply about the point of reality, which can never be locked in the same compartment as the frame. So he seems to have experimented with the medium of photography, which is directing a point in reality in the past, by changing the context to a more objectified dimension or by making it positioned within another reality. Therefore, the artist's folding, crumpling, or overlapping of everyday objects in reality was a way to create new hidden meanings by transforming memory into a stimulus and making it deviate from its usual understanding of everyday life, and it is seen as a process to obtain various results. Through this work process itself, the artist did not want to be buried in the daily life in reality and look at the daily life in it, but instead wanted to break away from the reality and read the layers of existential meaning that seemed to be stacked in layers. The author seems to have seen that this way of looking at reality with a different eye from everyday reality would be effective, such as locking one reality in the form of a medium or object such as a picture and colliding it with another reality or another context. It was seen that two different realities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check differences and gaps.    
However, the point observed is that the photo that appears in his work makes him interpret everyday situations outside of the picture, and his photo work in the exhibition seems to have the effect of awakening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in the picture and reality that he sees. As the daily life in the frame contrasts with the daily life in the picture, it makes you read the gap between the two differentiated reality, so it provides a way to learn the visual grammar of looking at reality as an image and seeing it again beyond the frame. Writer KiKi Lee uses the properties of the medium of photography to reverse or overlap the frames of reality and objects, thereby shaking the boundaries of reality or rebuilding the limits of space and time.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direction of gaze or the foundation of vision looking at reality in daily life, and as a result, it seems to be a task to make people aware of the essential position of the existence living in daily life.


Frame Series
Published:

Frame Series

Published:

Creative Fields